이원창 연세광혜병원 대표원장뼈와 근육에 노화가 시작되는 40~50대는 척추 질환에 취약한 연령대로 바른 자세 유지 등 생활 속 습관으로 질환 예방에 신경 써야 한다. 이 시기에는 허리디스크 외에도 척추 뼈가 어긋나는 척추 전방위증, 척추관협착증도 발생하기 쉽다.
협착증은 나이가 들면서 뼈가 두꺼워지고 두꺼워진 뼈가 신경을 누르면서 발생한다. 척추관협착증은 노년층과 여성에 주로 나타나는 대표적인 척추 질환이지만, 최근에는 노화 외에도 바르지 못한 자세와 과한 운동, 외상 등으로 인해 젊은층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다.
주된 증상은 허리 통증과 다리 통증·저림이다. 허리디스크 증상과 비슷해 이를 혼동하기 쉽지만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디스크와 달리, 앉아 있거나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척추관이 일시적으로 넓혀지며 통증이 줄어들고 걷거나 서 있으면 통증이 심해진다. 그래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몸을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를 주로 취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주변에서 허리를 굽히고 생활하는 어르신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걸을 때마다 다리가 터질 듯한 통증과 발바닥까지 타는 듯한 증상과 다리에 감각 이상이 생기기도 한다. 심한 경우 조금만 걸어도 통증으로 인해 앉아 쉬었다 걷기를 반복하며 보행 가능 거리가 점점 줄어들어 간헐적 파행이 나타난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보행장애 및 대소변 장애, 마비 등의 후유증도 동반하며 일상적인 활동에 큰 지장을 초래한다.
여러 시술법 중 하나인 추간공확장술은 척추관협착증뿐 아니라 허리디스크, 척추 유착성 질환, 척추 수술 후 통증 증후군 등 다양한 척추 질환의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최소 침습적인 방식으로, 척추관 및 추간공에서의 신경 압박을 줄이고 염증 유발 물질을 배출해 통증을 완화하는 치료법이다. 특히 고령자, 당뇨 혹은 심혈관 질환으로 전신마취가 어려운 환자에게도 국소수면마취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성공적인 시술결과를 위해 담당 의료진에 대한 신뢰와 함께 시술 전 주의사항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특히 과거 수술 경험 등으로 인해 면역 기능이 약화되었거나 염증 수치가 높은 경우라면 시술 후 감염 위험성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기저질환 등으로 면역 관련 약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주치의와 사전 협의를 통해 신중히 시술 가능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